로그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로딩중

FAQ

전자문서지갑의 자주묻는 질문들을 살펴보세요.
FAQ 검색
총 20
  • 답변

    전자증명서 진본검증 확인을 위한 플러그인 설치가 필요합니다.

    진본확인을 위해서 Adobe Reader 플러그인을 설치 하시면 정상적으로 진본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AdobeReader플러그인.zip [5329698 byte] [다운로드]
    AdobeReader 진본검증 플러그인 정상 설치 여부 확인 방법.docx [450993 byte] [다운로드]
  • 답변

    현재 발급가능한 증명서는 알림마당의 전자증명서 발급안내에서 확인가능합니다.

  • 답변

    Q : 정부24 앱에서 전자문서지갑 발급 신청하려고 들어가면 약관내용 및 동의 체크하는 부분이 안 보입니다.

    A : 정부24 앱의 최신화가 필요합니다. 정부24 앱을 업데이트(안드로이드는 플레이스토어에서, 아이폰은 앱스토어에서 정부24앱 '업데이터' 선택) 하신 다음에 다시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Q : 제가 핸드폰에서 제 전자문서지갑으로 증명서를 발급받으려고 하면 E107 오류라고 뜨고 발급이 안 됩니다.

    A : 먼저 정부24앱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하신 뒤 '핸드폰 설정-> 정부24-> 추적허용'의 허용버튼을 누르시면(추적허용 선택이 활성화됨) 바로 다시 이용 가능합니다.

  • 답변

    IOS는 버전에 따라 접근제한정책이 다르므로 아래의 조치방법에 따라 설정하시고 전자문서지갑을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우선, 정부24 앱을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IOS 조치 방법

    [설정] → [개인정보보호] → [추적] → [앱이 추적을 요청하도록 허용] 을 활성화

       

    ※ 추적에서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이 안되면서 하단에

    [사용자의 Apple ID가 최소 연령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이 설정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위와 같은 메세지 발생시 애플사의 개인정보보호 정책에 따른 만19세이상만 활성화가 되는 문제로 사용자의 연령을 확인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만약 만19세 이상 임에도 동일문구가 확인된다면 회원정보 변경이 필요할 수 있으니 자세한 문의는 애플코리아 기술지원센터 080-333-4000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정부24 회원가입 시 휴대폰 본인인증을 하지 않으셨거나,

    휴대폰인증을 하였지만 이후 휴대폰 번호를 바꾸었을 때 나오는 메시지입니다.

     

    정부24앱 메뉴 ‘MyGov → 회원정보 → 회원정보 관리’에서 회원정보 수정화면의

    휴대전화번호 항목 옆 ‘휴대폰 본인확인’ 버튼을 선택하여 진행 후

    다시 한 번 전자문서지갑를 발급 받으시면 됩니다.

  • 답변

    전자문서지갑은 정부24 홈페이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부24 모바일 앱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전자문서지갑에서는 전자증명서 출력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스마트폰 화면을 캡쳐하여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만, 발급받은 전자증명서를 열람용으로 다운로드할 수는 있습니다.

    ※ 종이문서로 출력이 필요한 경우 프린터가 연결된 PC에서

    정부24 홈페이지로 접속하여 수령방법을 ‘온라인발급(본인출력)’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주민등록등본을 다운 받으실때 수령방법을 온라인발급(전자문서지갑)으로 선택하셨나요?

    전자문서지갑으로 발급 받았을 경우, 처리완료 페이지에 ‘전자문서지갑' 표시가 있습니다.

    증명서 수령방법을 ‘온라인발급(전자문서지갑)’으로 선택하여 발급해주세요.

    ※ 수령방법의 기본설정은 ‘온라인발급(본인출력)’으로 종이문서로 출력하는 방법입니다.

  • 답변

    전자문서지갑으로 증명서를 먼저 발급받고 ‘보내기’를 이용하여 보낼 수 있습니다.

    보내기 방법에는 기관명검색, 주소입력, 1회 열람용보내기 3가지가 있습니다.

    1. 수취 기관명을 검색하여 보내는 방법,

    2. 수취기관(수취인)의 전자문서지갑주소 QR코드를 스캔하거나 직접 입력하여 보내는 방법,

    3. 수취기관(수취인)의 전자문서지갑이 없는 경우

    1회 열람용보내기 기능을 이용해서 상대방에게 해당 링크와 문서열람번호를 전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답변

    2021년 9월 현재,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행정정보공동이용기관)에 제출할 수 있습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의 경우에도 82개 기관에 제출가능하며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 농협은행, 하나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중소기업은행, 아주캐피탈, 새마을금고중앙회, 전북은행, 제이비우리캐피탈, 미래에셋생명보험, 서울보증보험, 롯데캐피탈, 대신증권, CK저축은행, DH저축은행, ES저축은행, IBK저축은행, JT저축은행, JT친애저축은행, OK저축은행, 고려저축은행, 국제저축은행, 금화저축은행, 광주은행, 남양저축은행, 대명저축은행, 대백저축은행, 대아저축은행, 대원저축은행, 대한저축은행, 더블저축은행, 더케이저축은행, 동양저축은행, 동원제일저축은행, 드림저축은행, 라온저축은행, 머스트삼일저축은행, 모아저축은행, 민국저축은행, 바로저축은행, 부림저축은행, 삼정저축은행, 삼호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세람저축은행, 센트럴저축은행, 솔브레인저축은행, 스마트저축은행, 스카이저축은행, 스타저축은행, 아산저축은행, 안국저축은행, 안양저축은행, 에스앤티저축은행, 엠에스저축은행, 영진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 오성저축은행, 오투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 우리저축은행, 유니온저축은행, 유안타저축은행, 유진저축은행, 융창저축은행, 인성저축은행, 인천저축은행, 조은저축은행, 조흥저축은행, 진주저축은행, 참저축은행, 청주저축은행, 키움예스저축은행, 키움저축은행, 페퍼저축은행, 평택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한성저축은행, 한화저축은행, 흥국저축은행

  • 답변

    발급받은 증명서는 전자문서지갑을 설치한 다른 사람에게 보내실 수 있습니다.

    전자문서지갑주소를 입력하거나 전자문서지갑주소 QR코드를 스캔해서

    원하는 증명서를 보내시면 됩니다.

    본인의 지갑주소 QR코드는 정부24앱에 설치된 전자문서지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증명서 위변조방지(시점확인), 블록체인 등의 보안기술이 적용되어 있어

    위변조가 불가능 하고 진본여부 여부가 쉽게 확인되므로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답변

    종이증명서의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효기간과 동일합니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등본은 90일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효기간이 경과한 증명서는 삭제되므로 다시 발급 받아 사용하셔야 합니다.

  • 답변

    전자증명서 보안부분은 현재까지 개발된 블록체인기술 등

    최신 보안기술을 접목하여 안전합니다.

     

    발급받은 증명서는 클라우드 기반의 자기정보 저장소에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되고

    나의 증명서를 다른 사람에게 보낼 때도 반드시 지갑을 이용해야만

    보낼 수 있고 암호화된 상태로 전송됩니다.

     

    증명서가 보관된 자기정보 저장소는 암호화, 접근차단, 접속기록 등

    보안조치가 적용되어 본인이외에는 아무도 접근할 수 없습니다.

     

    또한, 증명서의 위변조(시점확인기술 도입)를 차단하고 진본여부는

    블록체인 보안이 적용되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답변

    엄밀히 말하자면 스마트폰에 저장되는 방식은 아니며,

    발급된 전자증명서를 열람할 수 있도록 링크정보(URL)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발급 받은 증명서는 본인만이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의 자기정보 저장소에 암호화된 상태로 보관됩니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전자문서지갑을 통해서만 본인의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 등의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야 전자지갑의 증명서를 열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을 잃어버려 분실신고를 하시면 전자지갑은 폐쇄되고 저장소에 접근할 수 없게 됩니다.

  • 답변

    정부24앱의 메뉴 중에 전자문서지갑을 클릭하시면

    본인확인 절차를 거쳐 발급받은 증명서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문서지갑을 통해 증명서가 언제, 누구에게, 어디로 보내졌는지에 대한

    이력도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답변

    정부24의 하위메뉴(추가기능)로 전자문서지갑을 탑재되어 있으므로

    스마트 폰에 정부24를 설치하신 분은 2019년 12월 18일부터

    정부24를 업데이트 하시면 지갑을 설치하실 수 있습니다.

     

    정부24앱을 설치하지 않으신 분은 구글플레이 스토어, 애플앱 스토어에서

    정부24를 검색하시고 정부24앱을 설치하시면 전자문서지갑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전자문서지갑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한 번의 등록 절차를 걸쳐

    전자문서지갑주소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앞으로 본인이 자주 사용하는 금융 모바일앱에도

    전자문서지갑을 사용하실 수 있도록 금융권과 협의해 나가겠습니다.

  • 답변

    정부24에 접속해서 발급받을 증명서를 선택하시고

    이때 수령방법을 ‘온라인발급(전자문서지갑)’으로 클릭하시면 전자증명서가 전자문서지갑으로 발급됩니다.

  • 답변

    19.12.18. 주민등록표등·초본을 전자증명서로 발급 시작하여,

    20.02.14. 건축물대장 등 12종 오픈함.

    20년 말까지 누적 100종, 21년 말까지 누적 300종으로 발급 확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